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티스토리챌린지
- 그거사전
- 취미
- 헬가사건
- 오블완완주
- 그림그리기
- 오늘완 도전!
- 위대한 예술가
- 오블완챌린지
- 소묘
- 나를찾는독서
- 위대한예술가
- 건강지키기
- 독서하는 삶
- 독서
- 그림연습
- 오블완도전
- 프리다칼로레플리카전
- 존 러스킨의 드로잉
- 작심삼주 오블완 챌리지 도전
- 그러데이션 표현하기
- 추천책
- 영혼의화가
- 불멸의화가
- 다이어트
- 색채의 마술사
- 오블완
- 모네 인사이드
- 알프레히트 뒤러
- 건강
Archives
- Today
- Total
나를 찾는 도전 Life.
르네 마그리트 - 초현실주의 화가 본문
예술의 목적은 미스터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 르네 마그리트
언제부터였을까?
그의 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그가 하는 말만큼이나 그의 작품들은 해석하기 너무 어렵다.
그러나 난해하면서도 그의 그림이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지 계속 생각하게 만든다.
오늘 소개할 위대한 예술가는 '르네 마그리트'이다.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1898–1967)는 벨기에 출신의 초현실주의 화가로, 일상적인 사물을 낯설고 기묘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관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철학적이고 상징적인 요소로 가득 차 있으며, 보는 이로 하여금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탐구하게 만든다.
- 주요 그림 특징
1. 일상적인 사물의 재해석
마그리트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을 사용하되, 비현실적인 맥락에서 배치하거나 의외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르네 마그리트, <이미지의 배반>, 1929년 LA 카운티 미술관 - 책 방구석 미술관 중
"이미지의 배반"(La Trahison des Images)이라는 작품은 파이프 그림 아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라는 문구를 적어 실제 사물과 그 이미지 간의 차이를 강조한 작품이다르네 마그리트, <사람의 아들>, 1964년, 개인 소장 - 책 방구석 미술관 중
"사람의 아들"(The Son of Man)이라는 작품으로 모자를 쓴 사람은 마그리트의 자화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작품명인 <사람의 아들>은 '예수' 또는 '우리'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과가 얼굴을 가리고 있지만 왼쪽 눈이 살짝 보인다. 이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보기 위한 갈등의 연속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2. 초현실주의적 상징
마그리트는 '데페이즈망-고향으로부터의 추방, 낯선 느낌, 환경의 변화 등을 의미-'이라는 기법을 즐겨 쓰며 우리가 한 번쯤은 상상해 봤음직한 모습들을 낯설게 표현하는데 탁월했다고 한다.르네 마그리트, <골콩드>, 1953년, 메닐 컬렉션 - 책 방구석 미술관 중
"골콩드"라는 작품은 우리가 일상에서 지나칠 법한 남자들의 모습을 하늘에서 내려오는 듯하기도 하고 그냥 붕 떠있는 듯하게 표현하였으며, 다소 경직된 모습이 현대인의 몰개성을 나타낸다고 해석된다고 한다.
3. 단순한 구성 속의 복잡성
그의 작품은 대체로 시각적으로 간결하지만, 그 안에는 깊은 철학적 질문과 복합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잘못된 거울"이라는 작품은 속눈썹 없는 왼쪽 눈 안에 파란 하늘이 있다. 눈동자 안에 들어와 있는 저 하늘은 진짜하늘인가? 아니면 우리 눈에 비친 가짜의 허상의 하늘 아닌가? 이렇듯 르네 마크리트는 작품에서 철학적 질문을 던졌다고 한다.
- 글과 사상
1. 일상적인 사물의 재해석
르네 마그리트는 자신의 그림을 단순한 미적 표현으로 보지 않고, 철학적 탐구의 도구로 삼았으며 다음 3가지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 이미지와 현실의 차이: 마그리트는 이미지와 사물 사이의 관계를 자주 탐구하며,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을 문제 삼았다.
* 언어의 한계: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언어와 시각적 표현 사이의 불일치를 드러냈다.
* 일상 속의 경이로움: 평범한 것들 속에 숨어 있는 낯섦과 신비로움을 표현하려 했다.
위와 같이 마그리트의 작업은 초현실주의뿐만 아니라 현대 미술, 광고, 대중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철학적 관점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 특히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한다.
앞서 안내했던 피카소, 뒤러와 같이 르네 마그리트도 가장 기초적인 드로잉이 기본이 되었다. 그가 작품 하나를 만들어내기 위해 그렸던 드로잉의 과정을 살펴보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위대한 예술가는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더라도 기초부터 대단한 노력을 해왔기 때문에 위대한 예술가가 된 것이다. 요즘은 그 과정을 뛰어넘고 결과만을 바라는 풍조가 많이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부터 실천하는 습관을 만들어보자.
'위대한 예술가 만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 고갱 - 증권맨에서 화가로! (4) | 2024.11.25 |
---|---|
앤드루 와이어스 - 미국을 뒤흔든 헬가 스캔들 (8) | 2024.11.24 |
빈센트 반 고흐 - 영혼의 화가 (53) | 2024.11.23 |
프리다 칼로 - 미술계 여성 혁명가 (6) | 2024.11.22 |
알프레히트 뒤러 - 독일 회화의 아버지 (15) | 2024.11.11 |